하고 싶은 이야기/2025년

2025)하고싶은 이야기 - 2025트렌드와 나

작가상비군 2025. 2. 13. 11:11

2025년 트렌드와 나

 

우선 대표적인 트렌드 제시 도서 2권의 핵심 키워드

 

'트렌드 코리아 2025'의 10대 키워드:

  1. 옴니보어(Omnivore): 나이, 성별, 소득 등 기존의 경계를 허물고 다양한 취향을 수용하는 잡식성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2. 아보하(#Aboha: 아주 보통의 하루): 특별한 일 없이도 평범한 하루에 만족하며 작은 행복을 추구하는 경향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3. 토핑경제(Topping Economy): 소비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자신의 취향에 맞게 커스터마이징하여 가치를 높이는 경제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4. 페이스테크(Face Tech): 기술이 인간의 얼굴과 표정을 인식하고 표현하여 더욱 인간적인 소통을 가능하게 만드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5. 무해력(Embracing Harmlessness): 자극적인 정보와 경쟁 속에서 심리적 안전을 추구하며 작고 귀엽고 순수한 것들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6. 그라데이션K(Shifting Gradation of Korean Culture): 다문화 시대에 한국적 정체성이 다채롭게 변화하며 새로운 문화적 혼합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7. 물성매력(Material Attraction): 디지털화된 세상에서 오히려 물리적이고 감각적인 경험에 대한 매력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8. 기후감수성(Climate Sensitivity): 기후 변화에 대한 민감성이 높아지며 친환경 소비와 지속가능한 라이프스타일이 중요시되고 있습니다.
  9. 공진화전략(Coevolution Strategy): 기업과 소비자가 상호작용하며 함께 발전하는 공진화 전략이 부상하고 있습니다.
  10. 원포인트업(One Point Up): 작은 변화나 추가 요소로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치를 높이는 전략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2025 트렌드 노트'  8대 키워드:

  1. 케어의 아웃소싱: 가족, 교육 등 전통적으로 개인이나 가족이 담당하던 케어 역할이 외부로 아웃소싱되며 새로운 관계와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2. 여가의 레벨업: 러닝, 클라이밍, 프리다이빙 등 여가 활동이 단순한 취미를 넘어 효율, 낭만, 성장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3. 새로운 가족의 형태: 전통적인 가족의 개념이 변화하며 다양한 형태의 가족과 그에 따른 새로운 관계 맺기가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4. 연애 프로그램을 통한 주류 감성 파악: 인기 연애 프로그램을 통해 현대인의 감성과 가치관의 변화를 읽어낼 수 있습니다.
  5. 브이로그로 본 시대의 코드: 브이로그 콘텐츠를 통해 자기과시에서 자기수용으로 변화하는 시대적 코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6. AI 시대의 준비: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새로운 여가, 일, 학습 방식이 등장하며, 이에 따른 인간의 역할과 준비가 필요합니다.
  7. 혼자 사는 집에 들어오는 것들: 1인 가구의 증가로 집이 정체성, 작업실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며 이에 따른 소비 패턴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8. B급 소비의 부상: 리퍼브, 빈티지, 못난이 농산물 등 가성비와 친환경을 중시하는 B급 소비가 주류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새해의 트렌드로 제시된 위의 내용들에 대해

"아하, 그렇구나" 하고 지나가면 나와는 크게 상관없는 일이 된다.

물론 기업체나 자신의 업무와 관련해서

필요한 사람들이 이용하는 정보쯤으로 

활용되는 것이  보통이겠지만

각각의 개인으로서도

자신의 삶과 연관지어 생각해보고

필요하면 적용해 보는 것이

보다 능동적이고 건강한 삶이 될 것 같다.

 

그런 의미에서 위의 내용들에 대한 생각과

내 삶에 적용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앞으로 여러 회의 포스팅을 통해 

정리해 보고자 한다.

 

끝.